최근 대학수학능력시험(수능) 킬러문항(초고난도 문항)과 관련된 난이도와 변별력 논란, 학생·학부모 혼란 등이 이슈화되고 있다. 일부 비판이 있지만 최근 수능 출제에 대한 윤석열 대통령의 지시와 교육부의 대처는 정당하다고 본다. <br /> <br /> <br /> 일단 최근 수능에서의 킬러문항 출제는 분명히 객관적인 사실이다. 수능에 난이도가 높은 문항도 필요하지만 그 난이도가 지나쳤다. 최근 몇 년 동안의 사회탐구 수능문제를 풀어본 결과 필자도 제한된 시간에 모두 풀어내기가 쉽지 않았다. 특히 사회문화 문제에 정답률 2.4%의 킬러문항이 있었다. 교육대학원 수업에서 다수 현직교사들에게 질문해도 본인들 역시 그렇다는 답변을 얻었다. 아마 현역 정치인들도 수능 사회탐구 문제에 만점을 받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. 사탐문제에 수학이 요구되었기 때문이다. <br /> <br /> <br /> ━<br /> 킬러문항 없어도 수능 변별력 유지 가능 <br /> 이런 초고난도 킬러문항 출제는 학생들의 지나친 학습 부담, 선택과목 간 유불리 문제, 공교육에 대한 신뢰 약화 그리고 EBS 수능강좌 외 추가 사교육 수요 유발 등 여러 문제점을 낳고 있다. 따라서 킬러문항은 수능 출제에서 배제하는 것이 타당하다. 킬러문항이 없어도 수능의 변별력 유지는 가능해야 하고, 실제로 충분히 가능하다. <br /> <br /> <br /> 따라서 “변별력은 갖추되 공교육 교과과정에서 다루지 않는 분야는 수능에서 배제하라”는 윤 대통령의 지시는 타당하고 당연하다. 대통령의 지시가 모의고사에 반영되지 않았다면 책임을 묻는 것도 정당하다. 모의고사는 학생들의 적응을 돕기도 하지만 출제 오류를 개선하기 위해 시행하는 것이기도...<br /><br />기사 원문 : https://www.joongang.co.kr/article/25173094?cloc=dailymotion</a>